닫기

해리스 “검사처럼 트럼프 다룰 것”…첫 포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723010014467

글자크기

닫기

최효극 기자

승인 : 2024. 07. 23. 14:52

"트럼프 어떤 부류인지 안다"
정책·세대·문화 배경 대척점에
INDIA-US-POLITICS
인도 남부 타밀 나두 주의 툴라센드라푸람의 한 마을에 23일(현지시간)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로 확실시 되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포스터가 걸려 있다. 이곳은 해리스 부통령의 선조가 살던 마을로 알려진 곳이다. /AFP 연합뉴스
민주당 대선후보로 사실상 확정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첫 유세연설에서 자신의 과거 직업인 검사처럼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다루겠다고 선언했다.

해리스는 "여성 학대범, 소비자를 속이는 사기꾼, 사익을 취하려고 규칙을 깨는 부정행위자 등 모든 종류의 범죄자를 다뤄봤다"며 "내가 도널드 트럼프가 어떤 부류(type)인지 안다고 말할 때 내 말에 귀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의 경력에 맞서 나의 경력을 자랑스럽게 내세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샌프란시스코 주에서 흑인여성 최초로 지방검사장을 지냈고 캘리포니아 주 상원의원이 되기 전 주 법무장관을 역임한 해리스가 자신의 경력을 최대한 활용해 트럼프의 '사법 리스크'에 대한 공세를 시작한 것이다.

트럼프는 '성추문 입막음 돈(허시 머니)' 형사재판에서 비밀 유지 대가로 돈을 지불한 사실을 숨기기 위해 사업 기록을 조작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9월에 선고를 받을 예정이다. 그는 또 바이든의 2020년 승리를 뒤집으려는 시도와 관련된 형사 혐의 등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검사장 출신 해리스와 크게 대비된다.

해리스는 선거운동에서 낙태권 보호, 공격용 소총 금지와 중산층 재건 정책 등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큰 그림을 제시했다. 또 해리스는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폐지를 찬성하고 미국 국경을 넘는 행위를 비(非)범죄화하려고 했으며, 그린 뉴딜을 지지하고 정부의 전기차 의무화를 지지한 바 있다. 또 '경찰 예산 삭감' 노력을 장려해 정책에서도 트럼프와 대척점에 서있다.

아울러 해리스(60)는 흑인이며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으로 트럼프(78)와는 세대적, 문화적 배경 등 모든 면에서 상극이어서 선명한 대비를 이룬다.

해리스는 대체적으로 중국, 이란, 우크라이나에 대한 바이든의 외교정책을 계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가자전쟁에 대해선 이스라엘에 대해 바이든 보다 훨씬 강경한 입장을 취할 수 있다. 대북 정책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 상원의원으로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트럼프의 유화 행보를 비판했고, 북한 핵위협에 충분히 강력하게 대응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는 등 대북원칙론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또 경제정책에 대한 폭스뉴스의 분석에 따르면 해리스는 법인세율을 35%로 인상하고 자본이득에 일반 소득세율로 과세할 것을 촉구했다. 학자금 대출도 대학 졸업 후 빈곤 지역에서 3년간 사업을 하면 최대 2만 달러(약 2800만 원)까지 탕감해주겠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건강보험과 관련해서는 메디케어(노인 등 취약층을 위한 공공 의료보험)를 확대해 보편적 의료보험을 구현하기 위한 계획을 제시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해리스가 지난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부자들에 대한 세금 인상과 주택에 대한 투자 확대를 주장하는 등 바이든 보다 정책에서 더 진보적일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해리스는 당시 대선경선에서 트럼프의 감세를 부자들에게 주는 선물이라고 비난하고 주식시장 급등으로 중산층이 뒤처지고, 무모한 무역정책으로 미국 농촌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 사퇴이후 해리스 부통령은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접전을 벌이며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 일부에서는 흑인 여성 대통령 후보에 대한 우려를 씻어내지 못하고 있다. 250년 미국 역사상 한 번도 여성 대통령이 탄생하지 않았을 정도로 미국엔 인종과 성차별 역사의 뿌리가 깊기 때문이다.
최효극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