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LH 연구원 “2033년까지 연평균 최대 46만가구 주택 지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1010005201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5. 02. 11. 08:59

정부 예상치 39만3500가구 대비 17% 웃도는 물량
"수요 예측량과 실제 공급량 괴리 없애야"
서울 시내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 연합뉴스
서울 시내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2033년까지 연평균 최대 46만가구의 신규 주택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부가 예상한 연평균 수요보다 17% 가량 많다는 점에서 공급량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은 11일 발간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고려한 주택수요 분석 연구' 보고서에서 2033년까지 연평균 41만∼46만여가구의 신규 주택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제3차 장기 주거종합계획'(2023∼2032년)에서 가구·소득·멸실 요인을 감안한 연평균 신규 수요를 39만3500가구(수도권 24만8400가구)로 제시한 것과 비교하면 적게는 1만9000여가구, 많게는 6만8000여가구 많은 규모다.

모형 추정과 전제 차이, 특히 멸실량 추정방식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란 게 연구원 설명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은 특히 재건축이나 재개발 사업으로 멸실 이후 신규 공급되는 부분이 많은데 이 부분을 어느 정도로 추산하느냐에 따라 통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13년 제2차 장기 주거종합계획 발표 당시 2022년까지 주택수요를 연평균 39만1000가구로 예측했으나 결과적으로는 정부 예측이 실제 주택 준공실적에 비해 연평균 9만2000가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수요 예측량과 실제 공급량의 괴리는 주거 안정 및 주택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게 연구원 설명이다.

연구원은 "주택수요는 인구 구조 변화, 경제적 여건, 정부 정책 등에 의해 복합적 영향을 받는다"며 "인구구조 변화 시나리오, 소득 및 주거비 추세, 지역별 주택 면적 수요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