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의 수산업, 정신건강 영향 등도 포함
|
정부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지난달 24일부터 28일까지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62차 총회에서 제7차 실무그룹 평가 보고서 3종의 개요를 승인했다고 5일 밝혔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IPCC 보고서는 국내 기후위기 대응 정책뿐 아니라 기후변화 국제협상의 가장 주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보고서"라고 설명했다.
IPCC 7차 보고서는 실무그룹 보고서와 특별 보고서, 그 둘을 종합한 종합보고서로 구성된다. 먼저 제1실무그룹 보고서에서는 '기후변화의 원인 규명'이 지역적 규모까지 다뤄지게 된다.
제2실무그룹 보고서에서는 수산업이 받는 영향도 평가하기로 한 점 역시 주요하게 달라지는 점이다. 또 기후건강 분야 중 신체뿐 아니라 정신 건강에 관한 사항도 포함하도록 합의했다.
지역별 영향·적응·취약성을 평가하는 구성을 강조해 정책결정자와의 소통을 강화했고, '손실과 피해 대응' 및 '재정'에 대한 별도 장이 추가되는 등 현 기후변화 협상의 최신 주제가 반영됐다.
제3실무그룹 보고서에서는 기후변화 완화를 위해 목표 간, 이행 수단 간, 부문 간 통합적 대응 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행 수단 중에는 특히 재정의 필요성이 부각됐다. 감축 수단으로 부상한 이산화탄소 제거(CDR) 접근법에 대한 신규 장을 마련해 CDR 기술의 잠재성, 한계와 위험까지 종합적으로 평가될 예정이다.
한편, 한국을 비롯한 일본, 칠레, 노르웨이, 영국 등 여러 나라에서 갯벌, 해조류, 조하대 퇴적물을 새로운 탄소흡수원(블루카본)으로 인정하는 것에 대한 지지 의견도 나왔다. 이산화탄소 제거·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 방법론 보고서는 올해 하반기 개최될 차기 총회에서 개요가 승인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