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별도의 구제책 없다 재확인
|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의대생 복귀와 관련)수업 정상화 이외에 다른 방안은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대학별로 적용하기 어렵고, 휴학계 처리 등은 학칙에 정해진 대로 원칙대로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이다.
연세대를 비롯해 고려대, 경북대, 차의과대 등은 지난 21일 등록·복학 신청을 마친 상태다. 연세대 의대는 학생들이 약 55% 수준으로 복학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세대는 나머지 미복귀생들에겐 이날 오후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했다. 미복귀 의대생들은 28일까지 복학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제적된다. 교육부와 대학이 '제적'카드까지 내어놓자 의대생들 사이에선 동요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특히 24·25학번은 제적 시 재입학이 어렵기 때문에 물러설 곳도 없기 때문이다.
대학은 만약 대규모 제적 사태가 현실화될 경우 편입을 통해 빈자리를 메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내년도 편입학 규모는 수십 배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1·2학년 정원이 7500명인데 이 중 절반 이상이 학교에 돌아오지 않으면 4000명가량이 제적된다"며 "대학에서 보통 중도 탈락 대비 30% 정도를 편입으로 뽑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는 각 대학에서 1000명가량의 편입생을 뽑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의료계는 제적 등 의대생이 불이익을 겪게 된다면 집회·파업 등 투쟁에 나설 것을 검토 중이다. 개원의협의회도 "의대생 제적이 현실화한다면 단체행동의 동력이 생기지 않을까"라면서 "어떻게 대응할지 신중히 결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