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제적십자 “미얀마 지진, 단순 재난 아닌 복합적 위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1010016848

글자크기

닫기

홍선미 기자

승인 : 2025. 03. 31. 10:53

계속되는 내전에 도로·의료 등 인프라 이미 취약
사망자 1600명 넘어…러·유엔에 美·EU도 지원 합류
Myanmar Southeast Asia Earthquake
구조대원들이 2025년 3월 30일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붕괴된 건물에서 구조 작업을 하고 있다./AP 연합뉴스
미얀마에서 지난 29일(현지시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해 1600명 이상이 사망한 가운데, 도로와 공항, 철도 등 주요 인프라가 파손되면서 구조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4년여간 이어진 내전으로 이미 취약해질 대로 취약해진 사회 시스템에 지진까지 발생하며 구호 활동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로이터는 31일 미얀마 지진 피해에 따른 인도적 지원 필요성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급증하고 있다고 국제적십자사(IFRC)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알렉산더 마테우 IFRC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장은 성명을 통해 "단순한 재난이 아니라, 기존의 취약한 상황 위에 겹쳐진 복합적 인도적(humanitarian) 위기"라며 "이번 재난의 규모가 상당하며, 즉각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미얀마 적십자도 이날 성명을 통해 "파괴 규모가 광범위하며, 인도적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점정 커지고 있다"고 하며 국제사회 지원을 촉구했다.

IFRC는 10만명에게 생명을 구하는 긴급 구호와 초기 복구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1억 스위스 프랑(약 1670억원) 규모의 긴급 모금을 시작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역시 도로 파손으로 구호 활동이 차질을 빚고 있으며, 지진 피해가 심각한 미얀마 중부 및 북서부 지역 병원들이 부상자 급증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지진 피해가 더욱 큰 이유는 미얀마 군정이 지난 2021년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상황과도 맞물려 있다.

미얀마 군정이 정권 장악 이후 반대 세력을 숙청하고 외교를 차단하면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제재에 나섰다.

군부 정권 장악으로 4년간 고립되며 의료 시설 등 인프라 체계는 이미 상당수 무너졌고, 여기에 강진이 덮치면서 피해는 더 컸고 복구 역시 더욱 어렵다는 설명이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 등 통신망도 상당 부분 차단된 상태다.

미얀마 군정은 지진 발생 후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미얀마 군정의 도움 요청에 응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우리는 도울 것이며 이미 그 나라와 이야기를 나눴다"라고 답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강진으로 희생된 피해자와 가족들에게 애도의 뜻을 표하고 "더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러시아 역시 구조대와 의료진을 태운 항공기를 미얀마로 급파했고, 유엔은 500만달러(약 73억원) 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을 약속했다.
홍선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