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르포]‘앗’ 하는 순간 수십미터 추락...안전체험교육장 가보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1010017011

글자크기

닫기

익산 김남형 기자

승인 : 2025. 03. 31. 14:19

안전보건공단 익산안전체험교육장
건설현장 추락 VR로 경험..."안전대 체결 중요"
KakaoTalk_20250331_132713666
전북 익산시 안전보건공단 익산안전체험교육장에서 김남형 기자가 떨어짐 사고 유형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을 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
안전벨트를 메고 가상현실(VR) 장비를 착용하자 눈 앞에는 건설현장이 펼쳐졌다. 가상현실 내 리프트가 작동하자 몸이 떠오르면서 실제로 리프트를 타고 위로 올라가는 느낌이 들었다. 철골 구조물(H빔) 상부에 도착해 작업공간으로 걸어가는 도중 순간적으로 균형을 잃으면서 기우뚱, 곧 바닥으로 추락했다. 모든게 허구의 이미지라는 것을 알지만 입에서는 절로 '억' 비명소리가 나왔다.

안전대 고리를 안전대에 걸지 않아 발생한 추락 사고 체험이었다. 실제 몸이 올라간 높이는 1.5미터 남짓이었지만 가상현실 장비 덕분에 십수미터에서 떨어지는 듯한 느낌이 생생했다.

아시아투데이는 지난 27일 전라북도 익산시 제4일반산업단지에 위치한 위치한 안전보건공단 익산안전체험교육장을 방문했다. 지상 2층, 연면적 4385㎡ 규모로 세워진 교육장은 산업안전 체험관 등 모두 7개관으로 구성됐다. 50종의 교육 콘텐츠를 활용해 건설현장 추락사고나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전국에서 발생한 건설업 사망사고는 297건(사망자 303명), 이 중 '떨어짐' 사고로 숨진 근로자가 182명으로 가장 많았다. 건설현장에서 추락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안전대 체결이 필수적이다.

이날 교육에서도 안전대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었다. 건설현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시스템비계에 올라 안전대를 체결한 뒤 난간에 몸을 기댔다. 순간 난간이 철컹거리며 앞으로 쏠렸고, 안전장구와 연결된 안전대가 팽팽하게 당겨졌다. 안전대를 체결하지 않았다면 난간 너머로 떨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체험교육은 안전을 위해 난간을 끌어안고 진행했지만 실제 현장에서 안전대 체결 없이 근로자들이 무심코 난간에 기대는 경우 추락할 위험이 크다는 게 안전보건공단 관계자의 설명이었다.

안전체허교육장은 체험을 통해 위험을 인식하고 현장 근로자의 상황을 이해·공감하도록 하는 게 목표다. 장태열 공단 익산안전체험교육장 관장은 "안전체험교육은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위기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산업현장 종사자들의 안전체험교육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