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Ampere)가 15일(현지시간) 발표한 '한국 프로그램이 넷플릭스에서 미국 콘텐츠를 제외하고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다'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넷플릭스의 시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는 2023년 이후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에서 미국 콘텐츠(56∼59%)에 이어 2위(8~9%)에 올라, 양질의 드라마를 앞세운 영국(7∼8%)과 애니메이션이 강점인 일본(4∼5%)에 앞섰다.
암페어는 한국 콘텐츠의 대표작으로 지난해 하반기 스트리밍 6억1990만 시간을 기록한 '오징어 게임' 시즌 2를 비롯해 로맨스 드라마 '엄마친구아들'와 요리 예능 '흑백요리사' 등을 꼽으며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 외(non-US)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85개(17%)를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같은 시기 넷플릭스에서 상위 100위 안에 드는 한국 작품의 절반 이상이 자체 오리지널 작품이었고 31%는 넷플릭스 독점이었으며, 그중 대다수를 한국의 콘텐츠 강자인 CJ ENM이 제공했다"면서 "넷플릭스가 2028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25억달러(약 3조5708억원)를 투자하기로 한 것은 한국 콘텐츠 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하듯이 16일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인 '넷플릭스 톱 10'에 따르면 이달 7∼13일 가장 많이 시청한 비영어권 TV쇼 10개 가운데 6개가 한국 작품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악연'의 시청 수(시청 시간을 상영 시간으로 나눈 값)는 480만으로 비영어 TV 쇼 가운데 2위를 차지했으며, 공개 6주 째를 맞은 '폭싹 속았수다'는 3위(370만 시청 수)로 여전히 10위권 안에 머물렀다. 이밖에 기안84와 방탄소년단(BTS) 진이 나선 예능 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이 6위(200만 시청 수), '약한영웅 클래스 1'이 7위(180만 시청 수)에 각각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