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성명은 '유연하고 활력 있는 노동시장'과 '미래 일자리에 대한 대응'이라는 두 가지 주제 아래, 회원국이 추진할 실질적인 협력 과제를 담고 있다. 유연한 근로환경을 촉진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고, 임금과 근로시간 등 고용조건을 개선하는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노동시장 양극화와 구조적 불균형 해소를 위해 공정한 고용관행을 확산하고, 모든 근로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안전망을 확대한다는 데에도 뜻을 같이했다. 산업안전보건 기준은 신기술을 활용해 개선하고, 직장 내 괴롭힘과 폭력 문제도 공동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기술 격차 해소를 위한 회원국 간 지식·경험 공유도 강화된다.
미래 일자리 대응을 위한 협력 과제도 제시됐다. 직업교육·훈련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개편해 평생학습을 확대하고, 디지털 기반 고용서비스를 통해 양질의 완전 고용을 추구하기로 했다.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돕고 지속적인 고용을 유도하는 한편,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일·생활 균형을 지원하는 정책을 확대하기로 했다.
중장년층에 대해서는 재교육과 유연 근무제도를 활성화하고, 장애인에게는 직업능력개발 기회를 넓혀 고용 접근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밖에도 예기치 못한 대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전략을 회원국 간 공유하고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의장국인 한국은 두 차례 주제발표를 통해 공동성명 핵심 의제에 대한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유연하고 활력 있는 노동시장 부문에선 '한국의 노동 위상, 글로벌 무대에 바로 세우다', 미래일자리 대응 부문에선 '미래 일자리를 위한 한국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라는 제목으로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APEC 공동성명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회원 경제체 간 정책 방향과 실천 의지를 확인하는 의미가 있다. 각 경제체가 성명에서 약속한 내용을 실제로 이행하는지도 지속적으로 점검하게 된다.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장관 직무대행)은 "이번 공동성명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미래 일자리를 위한 이정표"라며 "공동성명을 뒷받침할 정례 포럼 등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만큼 회원국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격차 해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