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 국채 보유 줄이는 중국, 영국에 추월당해 3위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18010008270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5. 18. 10:32

미 재무부 "3월 중국 미 국채 189억달러 줄여 7654억달러"
10년 만기 국채 275억달러어치 순매도
영국, 289억달러 늘어 중국 추월 2위
일, 1조1308억달러로 1위 유지
한국, 1258억달러로 18위
미 국채 보유 현황
미국 재무부가 16일(현지시간) 발표한 3월 말 기준 미국 국채 보유 국가·지역별 현황./미 재무부 자료 캡처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중국이 미국 국채 보유를 줄이면서 영국에 역전당했다.

미국 재무부가 16일(현지시간) 발표한 3월 말 기준 미국 국채 보유 현황에 따르면 중국의 보유액은 전월 대비 189억달러가 줄어 7654억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영국의 보유액은 290억달러 늘어 7793억달러로 중국을 누르고 2위가 됐다.

일본은 49억달러가 증가한 1조1308억달러로 미국 국채 최대 보유국 지위를 유지했다.

미국 국채 보유액 순위에서 영국이 중국을 능가한 것은 2000년 이후 처음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평가했다. 중국은 3월 10년 만기 미국 국채를 275억달러어치를 순매도했다. 비교 가능한 2023년 2월 이후 최대 규모다.

중국은 2011년 1조3000억달러를 넘었던 미국 국채 보유를 꾸준히 줄여와 2019년 중반 일본에 추월당했고, 최근 1년간 7590억달러(2024년 12월)에서 7843억달러(2025년 2월) 사이를 보유해 왔다. 이는 외환 보유를 다변화해 미국 자산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중국 정부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시진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 29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진행된 정상회담에서 마주 보고 있다./AP·연합
한국은 1258억달러어치를 보유해 영국령 케이맨 제도(4553억달러)·캐나다(4262억달러)·룩셈부르크(4124억달러)·벨기에(4021억달러)·프랑스(3631억달러)·아일랜드(3293억달러)·스위스(3116억달러)·대만(2978억달러)·홍콩(2629억달러)·싱가포르(2627억달러)·인도(2399억달러)·브라질(2084억달러)·노르웨이(2001억달러)·사우디아라비아(1316억달러)에 이어 18번째로 많았다.

이어 독일(1114억달러)·아랍에미리트(UAE·1044억달러) 순이었고, 외국의 미국 국채 총보유액은 9조495억달러였다.

최근 1년간 한국의 미국 국채 보유액은 1150억달러(2024년 3월)에서 1275억달러(2024년 11월) 사이로 큰 변화가 없었다.

미국 국채 가격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안전 자산으로서의 신뢰도와 함께 하락 추세에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각 무역 파트너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발표한 후 미국 국채 가격을 급락했고, 중국·일본 등이 보유를 축소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4월 말 기준 국가별 미국 국채 보유액은 6월에 발표된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