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미얀마 국영방송 MRTV와 로이터 등에 따르면 군정은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11명의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흘라잉 사령관은 군 총사령관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선거를 감독하는 '임시 대통령'직을 추가로 맡는다. 사실상 군부의 수장이 선거 전반을 직접 통제하는 것이다.
조 민 툰 군정 대변인은 "다당제 민주주의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오늘부로 비상사태를 해제한다"고 설명했다. 흘라잉 사령관 역시 국영 언론을 통해 "우리는 이미 1막을 지났고 이제 2막을 시작한다"며 총선을 강행하겠단 의지를 분명히 했다.
군정이 "민주주의로의 복귀"를 내세웠지만 이는 사실상 군부 통치를 영구화하기 위한 수순이다. 쿠데타로 전복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민선정부 측 등 야권은 "군부의 통치를 합법화하기 위한 사기극"이라며 전면적인 선거 보이콧을 선언했다. 지난달 유엔 관계자도 군정이 실시하려는 총선을 "군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사기극"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군부는 총선을 앞두고 반대파를 억압하기 위한 조치도 미리 준비했다. 군정은 전날 선거 과정을 방해하려는 발언이나 시위에 대해 최대 10년의 징역형을 선고하는 법도 새로 제정했다.
또 다른 문제도 있다. 바로 선거를 물리적으로 치를 수 있느냐다. 쿠데타 이후 사실상의 내전 상태로 빠진 미얀마에서 군부가 현재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영토는 전국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군정이 총선을 준비하기 위해 지난해 실시한 인구조사에서는 전체 인구 5100만 명 중 1900만 명의 정보를 수집하지 못했다. 군정 스스로도 "심각한 안보적 제약"때문이라고 인정했다.
전문가들은 야권의 보이콧과 반군부 세력의 총선 방해 공세 속에서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만 치러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결국 군부가 원하는 대로 흘라잉 총사령관이 허울뿐인 선거로 장기 집권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