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KT는 "정지궤도 위성(GEO), 저궤도 위성(LEO), 성층권 비행체(HAPS)를 활용한 여러 계층의 비지상 통신 네트워크(NTN)를 구성해 3차원 공간 커버리지 확보할 방침"이라며 "이를 통해 기존 지상에 국한된 서비스 범위를 해상 및 상공까지 확장해 재난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통신망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T는 지난해 9월 세계 최초로 무궁화 위성 6호를 5G NTN 표준으로 연동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이후 후속 연구를 통해 위성고도에 따라 전송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을 개선, 정지궤도 통신 환경에서도 약 10Mbps의 속도를 통해 풀HD 영상 전송에 성공했다. KT는 3일(현지시간) 개막한 MWC25에서도 무궁화 위성 6G 통신 환경 에뮬레이터를 이용한 NTN 기술을 시연했다.
KT는 6G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또 다른 핵심 기술로 양자를 꼽았다. 기존 양자 암호 통신이 양자를 이용해 암호키를 전달하는 기술이었다면 KT는 양자를 이용해 직접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술을 통해 양자 인터넷 시대를 한 단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KT는 양자 암호 통신 고도화를 통해 양자 암호키 생성 속도를 국내 최고 수준인 150kbps까지 끌어 올렸다.
KT는 양자 컴퓨터의 방대한 연산능력으로도 해킹이 불가능한 양자 암호기술을 함께 활용해 최고 레벨의 보안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AICT 역량을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AI 네트워크도 선보일 계획이다. 현재 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정보에 AI를 적용해 스팸 차단, 보이스피싱 탐지 등 고객 보호를 위한 서비스를 개발했으며, 자율주행차와 같은 AI 응용 분야들과 연계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술 개발에 힘쓸 예정이다.
이원열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 액세스망연구담당은 "KT는 일상 생활과 산업 전반에 있어 디지털 혁신과 재난·재해 대비, 고객정보보호, 탄소 중립 이행 등 통신서비스의 강화된 사회적 책임에 기여할 수 있는 6G 네트워크를 준비한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위성 및 양자통신, AI 기술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