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홈플러스 노조 “회생절차로 매장폐점·대량해고 우려…정부 개입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04010001207

글자크기

닫기

정문경 기자

승인 : 2025. 03. 04. 17:16

홈플러스
홈플러스 매장./홈플러스
홈플러스의 교섭노조인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 지부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개시와 관련해 매장 폐점과 대량 해고가 우려된다며 정부의 개입을 촉구했다.

4일 홈플러스 노동조합 측은 이날 보도자료와 성명을 통해 "회생절차가 시작되면 고정비용 절감을 명분으로 심각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면서 "회생 과정에서 매장 폐점, 자산 매각, 대량 해고 등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정부는 즉각 개입해 홈플러스를 살리기 위한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공공자금 투입, MBK파트너스의 책임 강제, 노동자 보호 방안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홈플러스 위기의 근본 원인은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무책임한 경영에 있다"며 "2015년 MBK는 LBO(차입매수) 방식으로 홈플러스를 약 7조 원에 인수했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막대한 금융비용(차입금 이자 등)은 홈플러스가 떠안게 됐고 회사의 경영 상태는 극도로 열악해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MBK는 홈플러스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대한 배당을 지속적으로 챙겨왔다"며 "MBK는 1조 원 투자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회사가 회생절차에 돌입한 지금도 지원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홈플러스는 MBK파트너스가 2015년 인수한 이후 수천명의 직영직원을 감축했다"면서 "2년 동안 조합원들의 고용 안정을 보장받았고 재입점 약속도 받았으나 재입점이 된 점포는 단 하나도 없고 이런 문제들이 쌓여 신용등급이 떨어졌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회사 측을 향해서는 부채 규모, 경영 문제 등 회생 사유와 MBK파트너스의 책임, 회생계획서와 노동자에 미칠 영향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노조는 3월 대의원대회 열어 조합원 의견을 수렴하고 회사의 답변에 따라 집회, 파업 등 공동 행동을 결정할 예정이다.

또 노조는 오는 16일 오후에 상급단위와 변호사, 회계사를 포함한 전문가와 회생절차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문경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