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카카오임팩트, 테크포임팩트 랩 1기 성과 공유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24010012305

글자크기

닫기

정아름 기자

승인 : 2025. 03. 24. 09:14

테크포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21일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모두의연구소와 함께 추진하는 테크포임팩트 LAB 1기 성과공유회를 연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카카오임팩트
카카오임팩트는 지난 21일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모두의연구소와 함께 추진하는 테크포임팩트 랩 1기 성과공유회를 열었다고 24일 밝혔다.

행사에는 카카오임팩트 육심나 사무국장, 모두의연구소 김승일 대표, 테크포임팩트 랩 참여자 등 테크업계 현직자 약 100명이 참여했다. 테크포임팩트의 첫 프로젝트인 DVA 랩 미니 다큐 시사를 시작으로 7개 LAB의 성과 발표와 참여자 네트워킹 순으로 진행됐다. 다큐에서는 AI 엔진을 활용한 남방큰돌고래 보호 프로젝트의 개발 과정을 생생히 전했다.

테크포임팩트 랩은 사회혁신가(브라이언펠로우)와 현직 IT 전문가가 협업해 사회문제 해결에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이번 1기는 IT 전문가 90여 명이 총 7개 랩에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로 역할을 나누어 참여했다.

이날 테크포임팩트 랩 1기가 공개한 기술은 △저사양 기기용 백내장 진단 AI 앱 케이타 스캔 △쉬운 글 자동 번안 AI 웹서비스 피치서가 쉬운말 번안기 △복약상담 기록·관리 웹서비스 케어링 노트 △농난청인-문자통역사 매칭 서비스 소통 △비영리 단체 기부자 분석 AI 챗봇 서비스 팬파인더 △휠체어 사용자 위한 휠리 엑스 플레이 피트니스 게임 △태양광 패널 탐지 시스템 등으로 7개 기술 모두 서비스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카카오임팩트는 이번 행사를 마지막으로 1기의 공식 활동을 종료하고 개발된 결과물이 상반기 내 실제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기술 이관에 돌입한다. 또한, 기술이 사회 혁신 조직에 안착해 지속 가능한 임팩트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후속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을 지원하고, 오는 6월에는 테크포임팩트 LAB 2기를 모집해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피치서가 쉬운말 번안기를 만든 황윤경 랩장은 "5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IT 기술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직접 확인한 뜻깊은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말했다.

류석영 카카오임팩트 이사장은 "개발로 끝이 아니라, 기술이 실제 현장에 녹아들어 사회 변화의 시작이 될 수 있도록 후속 지원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김승일 모두의연구소 대표는 "공들여 개발한 솔루션들이 곧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기대가 크다"며 "앞으로도 기술과 사회 혁신의 접점을 확장하는 노력을 함께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정아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