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공급 안정성과 유연성 확보, 미래 에너지안보의 핵심
|
이날 콜로키엄에서는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자원안보정책 연구실장이 발제자로 나서며, 강원·동해안 지역에서의 발전제약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는 신규 송전망 건설 지연과 계통 용량 한계가 지역을 넘어 국가 전체의 전력안보에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다고 설명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의 에너지안보가 석유·가스 등 연료의 안정적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앞으로는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유연성 확보에도 주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논의에서 주목할 점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과 중소형 원자력 발전사업(SMR)이다. 일반적으로 분산에너지는 태양광·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논의되지만, 소형 모듈원전(SMR) 역시 소규모 부지에 설치가 가능하고, 출력 조절이 용이하며, 높은 안정성을 갖춰 분산형 전원으로서 장점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웅혁 에너지안보환경협회 회장은 "특화지역에서 계통 부담이 줄어들면 이론적으로 전기요금을 더 낮게 책정할 수 있다"면서 "이를 실현하려면 기술적·제도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초기 투자 비용 절감을 위한 보조금 및 거래 수수료 감면 등의 지원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