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공약 '경제·주거·안보'에 방점
"당내 갈등 포용 적극 나서야" 지적도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후보는 이날 새벽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가락시장을 방문한 데 이어 국민의힘 대전시당에서 충청권 선대위 출정식, 대구 서문시장에서 민생행보를 이어갔다. '텃밭 다지기' 전략으로 해석된다.
특히 김 후보는 이날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기업하기 좋은 나라'·'일자리 창출'·'인공지능(AI)', 청년주택, 광역급행철도(GTX), 안보 등 10대 핵심 공약을 골자로 한 '10대 공약'을 발표했다.
공약 내용을 보면 대부분 기업과 일자리 창출, 청년층의 주거지 문제 해결과 교통문제 해결, 안보 등 중도와 보수를 모두 아우르는 내용이다. 즉 집토끼와 산토끼를 모두 잡는 전략으로, 텃밭 지지를 다지고 중도지지를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다만 보수층 내부에서는 분명한 어젠다를 강조한 공약으로 지지층 결집도 좋지만 대한민국이 직면한 위기에 대한 전략적 대응도 동시에 밀고 나가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한 보수 인사는 본지와 통화에서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그동안 국민들이 지적해 왔던 부정선거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분명히 들어가야 한다"면서 "△부정·불법선거 원천 차단 및 최고형 경고 선언 △사법부에 공정 재판 촉구 및 위반 시 엄정 대응 선언 △서울고법 재판 지연에 대한 공식 입장 발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자격정지 가처분 신청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했다.
이 같은 주장은 지금까지 국민들이 체감한 부정·불법선거 등의 가능성을 21대 대선 국면에서 원천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는 '공정선거 수호자'의 이미지 확립에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선거에 대한 신뢰 회복을 추구하는 것과 동시에 민주공화국인 대한민국을 지키는 일이라는 점에서 국민의 요구에 응답하는 길이자 보수층의 지지를 얻는 '텃밭 다지기'라는 것이다.
그 외 단일화 과정에서 불거졌던 당내 분열을 조기 수습하고 통합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또 다른 선결 전략으로 나와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상처를 치유하고 '유능한 통합 리더'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당의 화합을 선두에서 이끌어야 하고, 향후 범보수 단일화를 위해서도 해결해야 할 문제라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