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펀드 1500억 달러…우리 기업에 得될까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31일 한·미 관세협상 타결 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한·미 조선 협력 펀드 1500억달러는 선박 건조, 유지·보수·정비(MRO),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한다"고 밝혔다.
미 해군은 현재 296척 규모인 함선을 2054년까지 381척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은 2054년까지 연평균 약 300억 달러(42조원)를 신규 함정 조달에 투입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 협상단에 "미국 내 선박건조를 최대한 빨리 이뤄지게 해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 펀드는 우리 기업의 미국 조선소 인수 및 시설·인프라 투자와 현지 선박 수주 시 금융보증 등에 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조선 펀드로 미국이 활성화할 산업이 한국이 세계적으로 선두를 달리는 조선 분야라는 점에서 결국 실질적 혜택이 우리 기업에 돌아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미국 주요 조선사와 공동 사업을 벌일 수 있는 사업자가 사실상 한국 기업 뿐이라는 점에서 직접적인 수혜자는 우리 조선사들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日도 美 조선소 인수전…동북아 해양안보 공급망 판도 재편될까
75년 넘게 미 해군의 함정을 수리해온 일본도 태평양을 넘어 본토 공략에 나설 전망이다. 태평양을 관할하는 미 해군 제7함대는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이후 일본 도쿄만 인근 요코스카 해군기지에서 함정을 정비해오면서 미·일 간 튼튼한 MRO 동맹을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미 해군은 최근 일본 내 정비 거점을 민간 조선소까지 확대했다. 지난해 말 미·일 간 조선·항공 MRO 관련 관세 완화가 전격 타결된 이후 미 해군은 상륙전 지원함 미겔 키스(ESB-5)를 일본 요코하마 요코하마 미쓰비시중공업 조선소에서 정비했다. 이는 미 해군 선박이 일본 민간 시설에서 창정비를 받은 첫 사례로, 상징성은 적지 않다는 평가다.
우리 조선사들은 수준 높은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으로 MRO 수주를 확보하기도 했지만 일본은 미 7함대 중심 거점이라는 위치적 우위, ISO 기반 공정 표준화, 미군과의 호환 인증체계 확보 등을 통해 미 해군의 신뢰를 이끌어냈다. 일본이 미 해군의 MRO를 해올 수 있었던 것은 군사외교·정치 네트워크와의 연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한일 간 조선소 MRO 전쟁이 기술·경제를 넘어 정치·외교 패키지 경쟁 양상으로 번질 것"이라며 "한국도 민간조선소 MRO 역량 강화, 방산외교 확장, 미군 인증체계 가속화 등이 시급하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