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아투포커스] “폰 개통하면 대출해줄게”… 서민 울리는 ‘휴대폰깡’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1010018657

글자크기

닫기

최민준 기자

승인 : 2025. 07. 31. 18:02

첫 검색부터 상담까지 고작 '10분'
급전 필요한 젊은층 무방비 노출
경찰, 조직원 184명 '무더기 검거'
보이스피싱·투자사기 등 악용 우려
"급전 필요하다면, 지금 바로 상담하세요." 31일 오전 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폰테크'를 검색하자 'OO폰테크', '△△모바일' 등 다양한 홈페이지가 등장했다. 폰테크, 일명 '휴대폰깡'을 유도하는 소액 대출 업체들이다. 업체마다 자신들을 '인증 업체' 또는 '정식 업체'로 소개했다. 하지만 경찰 관계자는 "휴대폰깡은 전부 불법이다. 정식 업체는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홈페이지에 기재된 연락처로 연락을 취하자 실제 상담원과 연결됐다. 상담은 상세 절차 설명 후 휴대전화 기종 선택으로 이어졌다.

업체 측은 최신 기종 휴대전화 목록과 기종별 대출 가능 금액을 소개했다. 20만~200만원까지 원하는 대출 금액과 해당하는 기종을 고르는 방식이었다. 첫 검색부터 상담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10분이었다.

최신 휴대전화를 개통하게 한 뒤 이를 사들이는 조건으로 소액 대출을 해주는 '휴대폰깡'이 성행하고 있다. 온·오프라인 등으로 쉽게 접근이 가능해 급전이 필요한 젊은이들과 금융취약계층이 무방비로 노출된 상황이다.

휴대폰깡은 대출이 필요한 사람이 휴대전화를 개통해 직접 사용하지 않고 대출 업체에 넘겨 단말기 가격의 60~70%를 현금으로 받는 불법사금융이다. 급전이 필요하지만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난 저신용자가 주요 대상이다.

휴대폰깡 수법은 최근 들어 계속되고 있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30일 '휴대폰깡' 조직 2곳의 조직원 184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등의 혐의로 검거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인터넷 광고 등으로 휴대폰깡 대출 희망자를 모집했다. 100만원이 넘는 휴대전화를 한 대당 60만∼80만원을 주고 사들이는 방식이었다.

지난 22일에도 3년 3개월간 300여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365대의 기기를 받고 20만∼40만원을 지급하는 등 휴대폰깡을 유도한 혐의로 30대 A씨가 경찰에 붙잡혔다.

이 같은 방식은 저신용자를 '이중고'에 빠뜨리고 있다.

급전 마련을 위한 '궁여지책'으로 휴대폰깡을 이용한 이들이 요금과 할부금을 모두 감당하지 못해 장기적으로 체납자, 신용불량자로 전락하고 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추가 범죄에도 활용된다. 휴대폰깡으로 개통돼 업체에 넘겨진 단말기 중 일부는 장물업자를 통해 국내외로 유통된다. 이 가운데 보이스피싱이나 투자리딩사기 등 다른 범죄에 악용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 관계자는 "저신용자가 홈페이지를 보고 연락하면 합법 대출처럼 신용 정보를 조회해 오라고 하거나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해야 한다"며 "온라인 광고를 쉽게 접하는 20·30대에 특히 주의를 요하며, 당장의 급전 마련을 위한 선택이 장기적으로 더 큰 경제적 손실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민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