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거래대금 격차 급증…코스피 쏠림 현상에 울상 짓는 코스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2010005765

글자크기

닫기

한혜성 인턴 기자

승인 : 2025. 08. 12. 18:50

코스닥, 코스피와의 거래대금 격차 2배로 커져
밸류업 정책도 코스닥에서는 ‘글쎄’
유동성 공급과 장기투자 유인책 필요
수정1
올해 들어 전세계 증시 수익률 1위를 기록하며 국내외 투자자의 관심을 모았던 코스피와 달리, 코스닥 시장은 오히려 거래대금 감소 추세를 보이며 외면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밸류업 정책이 코스닥에서는 원활히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부실기업을 적시에 퇴출하지 못하는 상장폐지 기준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관투자 확대·활성화 펀드 조성을 통해 개인에 치중된 시장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장기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제공돼야 한다고 제언한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코스피와 코스닥 두 지수간 거래대금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올해 1월 코스피와 코스닥의 일평균거래대금은 각각 9조6178억원, 6조9389억원으로 27.9% 차이에 불과했지만, 7월에는 각각 12조9597억원, 5조9059억원으로 54.4% 차이로 벌어졌다. 반 년만에 코스피 시장의 거래대금은 3조원 넘게 늘었으나 코스닥 거래대금은 1조원 줄어든 것이다.

업계에선 코스닥 시장 침체 원인 중 하나로 대형주들의 코스피 이전상장 문제를 꼽았다. 시장을 주도하던 유망 기업들이 떠난 코스닥 시장은 투자자들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도 감소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현재 코스닥 시총 1위 기업인 알테오젠도 주주들로부터 코스피 이전상장을 요구받고 있다. 앞서 알테오젠의 2대 주주인 형인우 스마트앤그로스 대표는 지난달 7일 기업 이미지 제고와 패시브 자금 투자 촉진을 이유로 코스피 이전 상장을 제안했다. 당일 알테오젠 주가는 10% 넘게 급등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대형주들이 코스닥에 머무를 유인이 없다면, 이 같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전상장이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이라고 할 때 이를 인위적으로 제한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코스닥 시장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우량한 상장기업이 비용·편익의 관점에서 머물러야 할 근거를 제공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투자자들 입장에서 코스피 대신 코스닥 시장에 장기 투자할 매력이 크지 않다는 점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가치주가 많은 코스피에 비해 성장주가 많은 코스닥 시장 특성상 배당 등의 주주환원 정책이 유효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코스닥 상장사는 36개사로, 코스닥 전체 시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5%에 불과했다. 코스피의 경우 122개사, 코스피 전체 시총의 49,4%로 나타나 크게 차이를 보였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주가치 제고 계획 공시는 투자자의 정보 비대칭 문제 완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잘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특히 밸류업 정책 중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방식의 주주환원은 현금흐름이 적은 코스닥 상장 기업에게는 어려운 이야기"라고 평가했다.

코스닥 시장의 높은 상장폐지 기준으로 부실기업이 적시에 퇴출되지 못해 시장 전반의 효율성과 신뢰도가 저하됐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전년 3분기 기준 코스닥의 한계기업 비중은 23.7%로 코스피 10.9%에 비해 12.8% 높게 나타났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으로,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이 높아 재무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의미한다.

단기매매 성향이 강한 개인 투자자 비중이 커 주가 변동성이 크다는 점도 장기투자를 망설이게 만드는 요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7월 한 달 동안 코스닥 지수의 투자자별 거래대금 비중은 개인이 74%로 가장 컸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의 경우 39.8% 수준이었다. 2배 가까운 차이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벤처업계에선 개인에 치중된 시장구조를 개편하기 위한 정책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벤처기업협회와 코스닥협회, 한국벤처캐피탈 협회는 국민연금의 코스닥 투자 비중 확대와 30조원 규모의 활성화 펀드 조성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 연구원은 "기존 상장폐지 제도는 기업 회생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운영됐고, 경기 하강 국면에는 퇴출 요건이 지속 완화되면서 한계기업의 상장폐지가 지연됐다"면서 "코스닥 상장 주식을 장기 보유하고 지속 투자하는 시장 환경을 만들기 위한 세제혜택 등 추가적인 유인책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혜성 인턴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