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터뷰] 박상혁 “우리 아이들이 교육위원장입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1010016853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 안정환 기자

승인 : 2025. 03. 31. 11:16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우리 아이들' 중심 교육 강조
"정치 이념 넘어 아이들에 초점맞춘 정책 펼칠 것"
인조잔디 운동장 확대·유보통합 등 현장 정책 우선
"학원 아닌 학교에서 배우는 교육환경 만들겠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1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이 지난 20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아시아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정재훈 기자
"아이들 교육에 진보·보수가 어디 있나?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게 제일이지."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은 "진보·보수의 문제는 어른들의 문제이며, 우리의 역할은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이라며 '우리 아이들'을 중심에 둔 교육 정책을 강조했다. 국회 보좌관 출신인 박 위원장은 "내가 하면 더 잘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으로 정치에 뛰어들었다며, 1년 남짓 남은 임기 동안의 계획과 포부를 들려주었다.

박 위원장은 지난 20일 아시아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시의회 교육위원회를 이끌면서 내 건 슬로건이 '우리 아이들'이라고 했다. 그는 위원장실 회의 탁자에도 '우리 아이들'이라는 명패를 두었다며 "교육감은 선거를 통해 뽑지만, 사실 교육에 대해서는 진보니 보수니 하는 정치적 이해가 있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위의 모든 예산이나 정책 집행은 우리 아이들 기준으로 하겠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박 위원장이 올해 역점을 두고 있는 정책은 학교 공간 혁신과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이다. 그가 현장을 돌아다니며 느낀 점 중 하나는 학생들이 학업부담과 디지털 기기에 몰입해 밖에 잘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박 위원장은 "아이들이 쉬는 시간에도 운동장에 나오지 않는다"며 "근데 인조잔디 운동장을 깐 학교에 가보면 쉬는 시간에 나와서 남학생들은 축구하고, 여학생들도 나와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눈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아이들이 점점 신체적·정신적 소모가 심각하다"며 "학교 공간 개선 정책이 학생의 신체활동을 늘릴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어서 인조잔디 운동장 설치를 확대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작년에 수요 조사를 해보니 약 250여 군데에서 인조잔디 운동장을 원했는데, 교육청 재원으로만 하기 부담이 크니까 지자체와 매칭을 통해 하려고 한다"며 "프로축구단과의 협력, 복합시설 조성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원하는 학교에는 인조잔디 운동장을 깔 수 있도록 마스터플랜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국가적 과제인 유보통합에 대해서도 관심이 크다. 박 위원장은 "유보통합이 국가적 아젠다이지만 현재는 법이 개정되지도 않고 인력 배치, 예산 등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현장에서는 혼란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는 "어린이집-유치원의 이해 당사자들도 있어 서울시 유아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유보통합 자문위원회를 교육청에 설립해 정책을 다듬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나아가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황 분석 △관련 재정 분석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체계 구축이라는 3대 전략과제를 통해 서울만의 특징을 살린 유보통합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시의 교육 현실에 대해 박 위원장은 학생들의 기초학력은 떨어지는 반면, 사교육비는 계속 증가하는 모순적 상황을 짚었다. 최근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2019년 대비 2023년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2배 이상 늘었고, 2023년 수학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16.6%에 달한다. 박 위원장은 "학생들의 기초학력은 떨어지고 이에 불안한 학부모들은 학교가 아닌 학원으로 자녀들을 보내는 실정"이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우선 정확히 진단하고, 필요한 교육이 학원이 아닌 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교육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교육당국이 추진 중인 △늘봄학교 △기초학력 지원 강화 △고교학점제 도입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등이 실제 학생과 학부모들이 원하는 수준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시행되고 있는지 의문을 표했다. 이에 우리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사회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하고 방향을 찾아갈 수 있는 담론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6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이 지난 20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아시아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정재훈 기자
특히 지난 2023년부터 큰 이슈였던 학생인권조례 폐지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박 위원장은 학생인권조례가 학교 현장에서 체벌이나 인권 침해적 학칙 개정 등 권위주의적이었던 학교 환경을 개선하는 데 역할을 했지만, 부작용도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학생의 권리가 왜곡돼 강조되면서 상대적으로 교사들의 교권이 위축되고, 오히려 학교 구성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우려가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라며 "이는 결코 학생인권조례 본래의 취지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학생인권조례가 만든 토양 위에서 학생과 교직원, 보호자 등 구성원 전체의 인권을 신장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학교구성원의 권리와 책임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학생인권조례의 폐지가 곧 학생인권의 후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위원장으로서 아이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진보교육감'인 정근식 서울시교육감과의 관계에 대해 "협치가 잘 되고 있다. 이념이나 정치적 진영 논리가 아닌 아이들을 중심으로 교육청이 운영돼야 한다는 점에 양측이 깊이 공감하고 있다"며 우호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12년의 국회 비서관·보좌관 생활을 거치면서 국가적 정책 아이디어가 '입안→실행' 되는 절차를 지켜본 박 위원장은 '직접 해보고 싶다'는 열망으로 서울시의원에 도전했다. 그는 "'박상혁'이라는 이름으로 정치하는 건 이제 첫 발인데, 얼마나 더 하겠다보다는 지금 맡고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해 결과를 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초심을 잃지 않고, 서울교육이 당면한 과제들을 해결하고, 주요 교육 정책의 성공적 안착에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마무리를 짓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이 지난 20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아시아투데이와 인터뷰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정재훈 기자
박지숙 기자
안정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