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북당진-신탕정 송전망 완공…정부·한전 ‘새 시대’ 선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2010001282

글자크기

닫기

김민환 기자

승인 : 2025. 04. 02. 14:58

정부·한전 “수용성 해법은 협력”
충남·수도권 전력 안정 신호탄
KakaoTalk_20250402_143401352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김민환 기자
정부와 한국전력이 전력망 구축의 핵심 가치로 '지역 협력'을 강조했다. 2일 충남 당진에서 열린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준공식에서 양측은 지자체와 주민과의 소통, 수용성 확보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협력 중심의 전력망 확충 필요성에 뜻을 모았다. 21년 만에 완공된 이번 송전선로는 그 전환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2003년 사업에 착수한 이후, 입지 선정과 인허가 과정에서 지역 반발과 갈등을 겪으며 장장 21년간 지연됐다. 송전망 구축 지연은 곧 전력 수급 불안으로 이어졌고, 발전소 출력 제한과 전력 추가 구입으로 연간 수천억원의 비용이 발생하는 악순환이 이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송전망 준공으로 약 3500억원의 전력구입비가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최남호 산업부 제2차관은 "충남 지역은 첨단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전력다소비 산업이 집중된 곳"이라며 "송전망 확충이 지역 투자와 국가 산업경쟁력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는 9월 시행될 전력망특별법을 통해 주민 피해를 고려한 보다 두텁고 촘촘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며 "정부도 현장에서 주민·지자체와 함께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충청권 산업 활성화와 연 3500억원의 전력구입비 절감 효과가 있는 의미 있는 사업"이라며 "전력망 적기 건설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이번 사업을 새로운 출발점 삼아 국가 전력망을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한전은 이번 준공을 계기로 당진화력-신송산, 북당진-신당진 등 후속 송전망 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한국전력은 지난 2월 전력계통본부 산하에 '전력망 입지처'를 신설하고, 수용성 기반 전력망 구축을 전담하는 조직으로 확대 개편했다.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단순한 인프라 완공을 넘어, 정부와 전력당국이 지역사회와 협력해 만들어낸 새로운 전력계통 모델의 출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편한정부와 한전은 북당진-신탕정 사업을 계기로 다른 장기 지연 전력망 사업 추진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신한울 원전과 연계된 500㎸ 동해안∼신가평 초고압직류송전(HVDC) 사업은 5년 6개월째, 당진화력발전소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는 345㎸ 당진화력∼신송산 송전선로는 7년 6개월째 지연되고 있다.

김 사장은 이에 대해 "전력망특별법도 통과됐고, 할 수 있는 노력을 최대한 해 빨리 건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앞서 2026년 6월까지 완공을 목표로 했던 계획에 대해선 "일정과 관계없이 최선을 다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민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