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마켓파워] 신동국 회장 384억원 현금화…한미약품 경영권 갈등 2라운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6010002734

글자크기

닫기

최정아 기자

승인 : 2025. 08. 06. 18:28

신 회장 그룹 경영 간접 관여 논란 속
무더기 교환사채 발행 행보 촉각
사모펀드에 보유지분 매각 가능성
한미사이언스 지분 추가 매입 가능성도
KakaoTalk_20250806_141912038
2022071401010010543
한미사이언스 최대 주주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이 '무더기 교환사채(EB) 발행'으로 현금 384억원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발행 대상은 한미약품을 비롯해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스티 주식 총 3건이다. 지난 1월 신 회장이 한미제약그룹 오너가(家) 지분 매입을 위해 자금 조달에 나섰던 것과 유사하다. 당시 신 회장은 장남 임종윤 전 대표의 한미사이언스 지분을 대규모로 매입해 경영권 갈등을 종결하는데 쓰였다.

다만 지난 1월과 다른 점은 신 회장이 '한미약품 2차 경영권 분쟁' 핵심인물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올 초 만해도 신 회장은 '모녀VS형제' 경영권 갈등에서 송영숙 한미사이언스 회장측의 백기사로 활약했지만, 최근 그룹 경영에 간접적으로 관여하며 논란이 됐다.

이 가운데 신 회장의 '현금화 이후 행보'에 대해 여러 관측이 나온다. 시나리오는 크게 두 가지다. 한미약품그룹 지분을 사모펀드에 넘겨 투자금 회수(엑시트)를 할 것이란 예측과 현금화한 자금으로 한미사이언스 지분을 추가 매입하며 그룹 영향력을 높이는 가능성이다. 어느 시나리오든 한미약품그룹의 지배구조에 불안요인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신 회장은 지난달 29일 한양정밀 법인 명의로 교환사채 3건을 발행했다. 총 발행 규모는 384억5426만원이다. 교환 대상은 한미약품(197억5340만원)·동아에스티(37억2086만원)·동아쏘시오홀딩스(149억8894만원)이다. 교환사채 3건 모두 표면이율 0%에 만기는 2030년 7월 29일이었다. 교환사채는 적은 비용으로 자금조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만기시 투자자에게 회사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선택권을 줄 수 있다.

신 회장이 교환사채를 무더기로 발행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1월에도 한미약품, 동아에스티,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대상으로 교환사채를 발행, 총 500억원을 현금화했다. 이 자금은 송 회장의 장남 신 전 대표의 주식을 사들이는데 쓰였다. 당시 최대주주 신 회장이 송 회장의 백기사로 나서면서 경영권 분쟁은 일단락됐다.

주목해야 할 점은 최근 들어 신 회장을 중심으로 2차 경영권 갈등이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신 회장이 교환사채를 발행한 배경이 무엇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업계에서는 '사모펀드에 신 회장 보유 지분이 매각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즉 신 회장이 사모펀드에 보유 지분을 모두 매각하고 엑시트할 것이란 관측이다. 지난달 말 이뤄진 교환사채 발행도 엑시트의 일환이란 얘기다. 일각에서는 신 회장이 이미 지분 매각을 위해 재무적 투자자들과 접촉하고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이에 신 회장을 제외한 4자 연합 측은 최근 신 회장의 한미사이언스 지분 포함 자산 약 220억원을 가압류했다고 알려졌다. 4자 연합의 계약에는 '보유 주식을 매각할 때 다른 주주가 해당 주식을 우선적으로 매수할 권리(우선매수권)'가 포함돼 있다.

물론 현금화한 자금으로 그룹 지주 격인 한미사이언스 지분을 추가 매입할 수도 있다. 현재 신 회장 측의 한미사이언스 지분은 총 23.38%(한양정밀 6.95% 포함)로, 송 회장 측 우호지분(28.89%·재단 포함) 보다 낮은 상황이다. 지분을 추가 매입하면 그룹 내 경영권 등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경영권에서 밀린 형제 임종윤·임종훈 전 대표이사가 보유한 지분(각각 6.8%·5.1%)을 신 회장이 사들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경우 신 회장이 송 회장 측 보다 6%포인트 이상 앞설 수 있다.

한미약품그룹 안팎에서는 송 회장이 줄곧 주주들에게 강조해온 '전문경영인 체제' 공약이 엇나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최근에도 신 회장 측근이 그룹 내에서 경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다고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지속되는 경영권 분쟁에 지배주고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한미약품그룹 주가는 힘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영권 분쟁이 지속되면서 신약명가로 불리는 한미약품의 성과와 실적이 가려지고 있다"며 "사모펀드에 경영권이 넘어가는 수순 아닌지 우려된다"고 전했다.
최정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