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푸틴 회담, 성공 확률 75%...젤렌스키 포함 3자 회담 영토 주고받기 체스게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tgau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5010007307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8. 15. 05:20

트럼프 "젤렌스키 포함 두번째 회담서 합의"
"영토 주고받는 체스게임"
트럼프-푸틴 회담, 16일 오전 4시 30분 시작
US-RUSSIA-UKRAINE-CONFLICT-PUTIN-TRUMP-SUMMIT-DIPLOMACY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예정된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의 엘먼도프-리처드슨 미군 기지 모습으로 13일 찍은 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포함한 3자 회담을 위한 준비 측
면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 폭스뉴스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이 회담은 두번째 회담을 준비하는 것"이라며 "이번 회담이 성공적이지 않을 확률은 25%"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번째 회담이 매우 매우 중요할 것"이라며 "합의를 할 회담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의 회담은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의 엘먼도프-리처드슨 미군 기지에서 15일 오전 11시 30분(한국시각 16일 오전 4시 30분)께 통역을 동반한 두 정상의 일대일 대화로 시작하고, 이후 양국 대표단이 참여하는 협상이 이어진다고 유리 우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이 밝혔다.

FILES-UKRAINE-RUSSIA-CONFLICT-US-DIPLOMACY-ALASKA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8년 7월 16일(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에서 가진 정상회담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AFP·연합
◇ 트럼프 "내일 푸틴과의 회담, 성공 확률 75%...젤렌스키 포함 두번째 회담서 합의"
"3자 회담, 영토 주고받는 체스 게임 같은 것"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 회담 이후) 즉각적인 휴전이 이뤄질지는 모르겠다"고 예측했다. 이번 회담이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문제를 논의할 2차 회담 준비 측면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날 백악관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도 "내일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이 좋은 만남이 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더 중요한 회담은 우리가 가질 두번째"라며 이에는 푸틴·젤렌스키 대통령과 '아마도' 일부 유럽 정상들이 참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3자 회담 개최 시 이뤄질 수 있는 우크라이나전쟁 휴전 또는 종전 합의에 대해 "나는 '뭔가를 분배한다'는 말을 쓰고 싶지 않지만, 그것이 그렇게까지 나쁜 표현은 아니다"며 "어느 정도 경계와 땅 등에서 주고받기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푸틴과의 회담이 체스 게임 같은 것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BRITAIN-UKRAINE-RUSSIA-CONFLICT-DIPLOMACY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왼쪽)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4일 영국 런던의 총리 관저인 다우닝가 10번가 정원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AFP·연합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이 휴전에 응하지 않으면 러시아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교역국에 대해서도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한 '경제적 제재'와 휴전에 응할 경우의 대가인 '경제적인 인센티브'가 모두 매우 강력한 대(對)러시아 협상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이 성공적으로 끝나 3자회담을 개최할 경우에 대비해 장소 3곳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서 가장 쉬운 옵션은 알래스카로 젤렌스키 대통령을 불러 연이은 회담을 개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과의 회담 및 오찬 후 공동이 될지, 단독이 될지 확정되지 않았지만, 공동 기자회견이 좋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