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재와 광화문이 위치한 종로구는 직원들이 인파관리 비상근무에 나선다.
삼일대로(헌재~안국역~낙원상가), 율곡로, 사직로(안국역~송현광장~고궁박물관), 세종대로(광화문~청계광장), 종로(보신각~광화문광장)에 무단 적치된 입간판 등 위험시설물에 대해 정비를 마쳤다. 종로노점상연합회도 선고일에는 가능하면 영업을 중지하기로 했다.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CCTV와 소방시설 작동 상태를 수시 확인하고 24시간 감시한다. 외국인민박업, 한옥체험업, 여행업 관련자를 대상으로 안전주의를 당부하는 공문과 개별 문자도 발송했다.
천도교 수운회관 주차장에 현장진료소를 설치해 의료진이 상주한다. 의료지원반과 신속대응반, 재난의료지원팀이 역할 분담을 해 집회 시민의 부상 등에 긴급대응하기로 했다.
대통령실과 관저가 위치한 용산구도 안전관리 특별대책을 마련했다.
이태원로 용산공예관 4층 상황본부를 설치하고 신속대응팀을 가동한다. 인구 밀집 등으로 인한 통신장애에 대비해 재난안전통신망 단말기를 재배치하고 유관기관과 신속한 상황 공유체계를 마련했다.
가로 쓰레기통, 공공자전거 따릉이, 킥보드 등도 일시 수거해 안전을 확보하기로 했다. 공사장 가림막을 보강하고, 매봉산 등산로를 일시적으로 통제한다.
한남대로 82 앞 보도에 시·구 합동 현장의료소를 설치해 의사와 간호사 등 10여명이 경미한 부상 치료를 담당한다. 또 2개 팀으로 신속대응반을 운영해 응급상황에 대처하기로 했다.
정문헌 종로 구청장은 "특히 광화문, 안국역 일대의 상황을 주시하며 시민 안전과 재산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도 "지난 1월부터 시민불편 해소 전담대책반을 선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탄핵 선고시에도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키겠다"고 강조했다.